AI에게 두뇌를 빼앗기지 말라 !
ChatGPT를 사용하다 깜짝 놀라면서..
그리 오래 사용 한 것도 아닌데도 멀쩡히 글 잘 쓰던 내가 자꾸 물어보게 되고 점점 빠지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사람이 조금 편해지면 더 편해지고 싶은 것은 어쩔 수 없는 본성인가 보다.
지금이라도 정신 차리고 이 글을 쓰는 것은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문제는 이 AI는 대화형으로 출발 한 것이지만 특정 주제를 인간 대신 완성 해 줄 것을 요구 하게 되고, 그 요구를 성실하게 들어주는 데서 인간이 미래에 무너질 것이란 추측이 가능 해진다.
지금이라도 정신 차리고 이 글을 쓰는 것은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문제는 이 AI는 대화형으로 출발 한 것이지만 특정 주제를 인간 대신 완성 해 줄 것을 요구 하게 되고, 그 요구를 성실하게 들어주는 데서 인간이 미래에 무너질 것이란 추측이 가능 해진다.
시키는 대로 잘 수행해서 편하고 실적도 좋고 검색 능력도 탁월하고 거의 오류가 없는 이 문명의 이기를 우리는 어떻게 다뤄야 할 지 고민해야 한다.
시키는 대로 잘 하면서 틀림없이 학습하게 되고 그들은 침해도 걸리지 않는 지식 두뇌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들은 머지 않아서 인간의 모든 지식을 흡수하고 난 후 빠르게 인간을 추월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니 너무 끔직하다.
블로그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AI를 사용하며 몇 가지 주의할 점
1,출처 명시
뉴스에서 나온 구체적인 사실이나 인용문을 쓸 경우, “○○ 보도에 따르면” 같은 방식으로 출처를 남기면 신뢰도도 높아지고 저작권 논란도 피할 수 있다.
2,직접 복사 금지
기사 전문을 그대로 퍼다 나르거나, 특정 매체의 문장을 통째로 가져오면 저작권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지금 이 글처럼 자신의 말로 다시 풀어 쓰면 안전하다.
3.이미지 사용
관련 글에 사진을 넣을 경우, 영화사,언론사 보도 이미지 등을 무단 사용하면 문제가 될 수 있다. 대신 저작권 무료 이미지(Unsplash, Pixabay, Wikimedia Commons 등)나 직접 만든 이미지 생성AI나 생성 툴등을 쓰는 게 좋다.
최근 주요 소송 및 판례들
나 같이 작은 블로거들과는 거리가 멀지만,참고로 뱐화하는 법적인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 될만하다고 생각해서 사례들을 찾아 본 것입니다.
디즈니 & 유니버설 vs 미드저니 (Midjourney)
2025년, 디즈니와 유니버설은 이미지 생성 AI인 미드저니(Midjourney) 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소송 내용은 미드저니가 자사 캐릭터(예: 엘사, 다스베이더 등)를 무단으로 학습시켰고, 사용자 프롬프트를 통해 원작과 매우 유사한 이미지가 만들어진다는 것이었습니다.
두 회사는 저작권 침해를 주장하며 서비스 중단과 손해배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vs 미드저니
2025년 9월에는 워너 브라더스도 미드저니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슈퍼맨, 배트맨, 원더우먼, 스쿠비두 등 자사의 대표 캐릭터들이 무단으로 재생산되고 있다는 이유였습니다.
특히 워너는 미드저니가 과거에는 있던 안전장치를 제거해 더 쉽게 캐릭터 유사 이미지를 만들 수 있게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워너 역시 손해배상과 서비스 제한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Getty Images) vs 스테이빌리티 AI (Stability AI)
세계적인 이미지 라이브러리 기업 게티이미지(Getty Images) 는 AI 이미지 생성 모델 Stable Diffusion을 만든 Stability AI를 상대로 영국과 미국에서 소송을 걸었습니다.
게티는 수백만 장의 자사 이미지를 무단으로 크롤링해 학습 데이터로 사용했고, 그 결과 자사 비즈니스와 경쟁하는 서비스를 만들었다고 주장합니다.
현재 재판 절차는 진행 중이며, 증거 수집(discovery) 단계에 있습니다.
아티스트 vs 스테이빌리티 AI, 미드저니, 디비안트아트
여러 디지털 아티스트들이 Stability AI, Midjourney, DeviantArt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작품이 무단으로 학습 데이터로 활용되었고, 그 결과 AI가 원작과 유사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면서 수입과 명성이 침해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부 청구는 기각되었지만, 원고들은 수정된 소장을 다시 제출하여 소송이 계속 진행 중입니다.
음악 레이블 vs Suno & Udio
유니버설, 소니 등 세계 주요 음악 레이블은 AI 음악 생성업체 Suno와 Udio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레이블 측은 이 AI들이 기존 음악을 무단 학습하여 아티스트의 스타일, 멜로디, 리듬을 모방한 음악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합니다.
아직 판결은 나오지 않았으나, 손해배상 규모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Thaler 사건 – AI가 만든 그림의 저작권 여부
AI 저작권 논란에서 상징적인 사건이 바로 스티븐 세일러(Thaler) 의 사례입니다.
그는 AI “Creativity Machine”이 만든 그림 A Recent Entrance to Paradise 를 미국 저작권청에 등록하려 했지만 거부당했습니다.
이후 항소법원까지 갔으나, 법원은 “저작권법 상의 작가는 인간이어야 한다”는 기존 원칙을 유지했습니다.
즉, AI가 독자적으로 생성한 창작물은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다라는 판례가 확립된 셈입니다.
이상 참고 출처
The Guardian, Reuters, CNBC, The Verge, Copyright Alliance, Global Times 등 해외 언론 보도 및 판례 정리.
ChatGPT(오픈AI)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재작성.
참고로 글을 쓰거나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탁월한 기능과 편리성을 느끼면서
ChatGPT의 업그레이드 가격을 찾아 봤다,
블로그 글 쓰려고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나? 하는 생각으로 주저했지만,아래에 업그레이드 가격표를 캡처했다.
![]() |
| ChatGPT의 개인플랜 업그레이드 가격(현재) |
#AI지식 #ChatGPT #AI글쓰기 #AI학습


댓글
댓글 쓰기